본문 바로가기
영양 정보

임신성 당뇨 정의와 원인과 관리 방법

by 내말이김말이계란말이 2024. 1. 25.
반응형

임신성 당뇨

 

 
 

목차

1. 임신성 당뇨란? 
2. 원인은?

3. 진단 방법 및 기준
4. 관리 방법
5. 예방법

 

 

1. 임신성 당뇨란?

 

임신성 당뇨는 아이를 가지기 전에는
당뇨병이 없었던 사람이 임신 중에
이러한 질병에 처음 발견된 것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임신 중에 발생하는 호르몬 변화나
생리학적인 변화와 연관이 있다고
보고 있는데 출산 이후에는 
대부분의 경우 정상 수치의 
혈당으로 되돌아옵니다.

 

2. 원인

 

임신성 당뇨 원인은 지금까지 
제대로 원인이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임신성 당뇨병의 경우 
난포 호르몬이나 태반 락타아젠, 
황토 호르몬 등의 태반 호르몬이 
인슐린의 나오는 걸 억제하는 작용과
태반 인슐린의 분해하는 효소 작용이
관계된 것으로 예측하고 있죠. 

임신성 당뇨 위험 요인은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으니 참고하세요.

1. 과체중 혹은 비만
2. 가족력
3. 고혈압
4. 다태아
5. 조산했던 과거력
6. 당뇨병을 치료받은 산모의 배우자

 

 

3. 진단 방법 및 기준

 

임신성 당뇨병의 진단은 아래와
같은 방식을 이용해서 체크해볼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 50g 당부하 검사

임신 24주 ~28주 사이에 시행하게되는 
검사로써 공복 혈당을 측정해서
50g의 포도당을 섭취해 
1시간 후 혈당을 측정합니다.
1시간 이후 혈당이 140mg/dl 이상
이라면 임신성 당뇨로 진단합니다.

2. 100g 당부하 검사

50g 당부하 검사에서 양성이
나오게 되면 해당 방식을 활용하여
다시 한번 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공복 혈당을 측정해서 100g의 포도당을
섭취하고 1시간 후 그리고 2시간 후
혈당을 측정하게 됩니다. 
1시간 이후의 혈당이 140mg/dl
이상에 해당하거나, 2시간 이후의 
본인의 혈당이 200mg/dl 이상
수치가 나왔다면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하게 됩니다.

 

4. 관리 방법

 

임신성 당뇨의 경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관리하게 됩니다. 

1. 식사 조절

혈당을 조절하기 위해서 거기에
맞춰 적절하게 음식을 먹는 것이
필요합니다.
우선 탄수화물 섭취를 제한하며
섬유질 및 단백질의 양을 증가시켜
주는 것이 좋습니다. 

2. 운동

임산부 역시 규칙적인 운동을 해주는 게
혈당 조절에 좋은데요.
하루 30분 이상 주 5일 정도 라이트한
운동을 하는 것이 좋아요.

3. 약물  

운동이나 식사 조절로 혈당 조절이
어려운 경우라면 약을 이용해서 
시행하게 됩니다. 
인슐린, 경구 혈당 강하제 등 
의사의 처방을 받아서 
진행될 수 있습니다. 

 

 

5. 예방법

 

1. 정상 체중 유지

아이를 갖고 나서 당뇨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아이를 가지기 전부터
정상 기준의 체중을 유지해야만 합니다.

2. 올바른 식습관 유지

또한 균형 잡힌 식사를 하도록
노력해야 하고 갑작스러운
폭식 혹은 과식은 되도록
피하도록 합니다.

3. 규칙적인 활동

임신 전에는 규칙적인 운동을
해주는 것이 임신 후의 당뇨를
예방하는 데 좋습니다. 

 

 

 

 

임신성 당뇨는 산모는 물론 태아에게도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임신 전부터 당뇨의 위험 요인이 있다면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서 이를 조기에
발견하여 관리해 나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반응형